<aside> ✅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다음 항목들을 준비해주세요 🙂
<aside>
💡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의 설립자 겸 최고투자책임자(였던…)
</aside>
1975년, 브리지워터 설립( ~ 현재 자산규모 약 215조 원)
1970~80년대 경제와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경험하고, 다양한 자산군이 서로 다른 경제 환경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함.
<aside> 📝 예시
경제가 성장하고, 물가도 함께 오르는 시기에는 주식이나 회사채, 원자재 같은 자산의 수익률이 높습니다. 경기가 호황이기 때문에 기업 실적도 좋고, 이에 따라 주식과 회사채도 유망하기 때문이죠.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원자재에 대한 수요도 함께 늘어납니다.
반면, 경기는 침체를 맞은 상황에서 물가가 오른다면(스태그플레이션)? 물가 상승에 수혜를 보는 원자재와 신흥국 채권, 물가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물가연동채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aside>
경기와 물가의 방향성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해당 국면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는 자산군에 투자하여 좋은 수익을 거둘 수 있음. 하지만 현실에서 완벽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
⭐ 그렇다면 자산들을 고르게 배분하여 투자하자. 모든 계절(=경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어떻게? 위험이 고르게 배분되도록(risk parity)
<aside> 📝 리스크 패리티?
단순히 주식과 채권 등 특정 자산의 금액 비중을 일정하게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자산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리스크를 계산해서 리스크를 일정하게 배분하는 분배 전략.
</aside>
<aside> 💡 주식, 채권, 원자재를 적절하게 혼합해서 투자하기
</aside>
실제 브릿지워터에서 운용하는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정확한 구성항목과 비중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Money
라는 책을 통해 대략적으로 공개된 바 있음
주식
: 30%채권
: 55% (장기채: 40%, 중기채: 15%)원자재
: 15% (금 7.5%, 그 외 7.5%)그렇다면, 주식, 채권, 원자재에 어떻게 투자할 수 있을까?
ETF를 사용하면 손쉽게 투자할 수 있음.
<aside> 📝 ETF(Exchange Traded Fund)란?
거래소에 상장(Exchange)돼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Tradable) 펀드(Fund)를 의미. 펀드처럼 다양한 상품을 담고 있고, 삼성전자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쉽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aside>
를 구매하여 해당 자산군에 투자하는 것이 가능.
위 표에서 x, y축에 대한 표기가 잘못되어 있어 아래 표로 보충합니다
경기 상승, 물가 상승 | 경기 하락, 물가 상승 |
---|---|
경기 상승, 물가 하락 | 경기 하락, 물가 하락 |
<aside> 💡 국내상장 ETF를 이용한 K-올웨더 포트폴리오
</aside>
ETF 처음공부
라는 책에서 소개된 바 있음(링크)<aside> 💡 위에서 배운 K-올웨더 전략에 투자해봅시다 ⌨️
터미널 명령어 입력 몇 번으로 손쉽게 자동화된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aside>